방송인 정형돈 씨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노원구 화랑대역과 송파구 잠실역 버스 전용 차선을 지나다가 과태료를 물게 되었습니다. 정형돈 씨는 화랑대역과 잠실역 버스 전용차선은 내비게이션만 따라가도 과태료가 나오는 곳이라는 제보자의 제보를 받고 변호사와 함께 직접 체험을 하였습니다. 이 체험에서 정형돈도 잠실역 버스전용차선에서 단속카메라에 당하고 말았습니다.
잠실역 버스 전용차선
잠실역의 버스 전용차선은 놀이공원과 백화점이 있어 늘 혼잡한 곳입니다. 내비게이션이 300미터 앞에서 우회전을 하라고 안내를 해서 정형돈은 내비게이션 대로 점선이 그려진 우측 도로에 진입하였습니다. 이후 차선이 실선으로 바뀌고 차단봉이 나타나 단일 우회전차선 같아 보였지만 단속카메라와 함께 버스 정류장이 나타났습니다. 차단봉으로도 다 막혀있어 빠져나갈 수도 없었습니다. 당황한 정형돈은 "잠시만요. 나 지금 뇌 정지가 왔다. 우리가 잘못한 거냐"면서 주위를 살폈습니다.
잠실역 버스 전용차선에서 과태료를 내지 않으려면
잠실역에서 버스 전용차선을 피하면서 과태료를 내지 않으려면 우회전을 80미터 앞에 남겨두고 차로 2개를 이동해야 합니다. 우회전을 위해 이보다 미리 진입을 한다면 버스 전용차로로 들어가게 되어 단속카메라를 만나게 되는 구조입니다. 정형돈은 "안내판이 있어도 80미터 앞에서 이렇게 갑자기 우회전을 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누가 80미터 앞을 남겨놓고 우회전을 할 거라고 생각하겠냐"라고 지적했습니다. 함께 동승한 변호사 역시 "요즘 같은 고물가 시대에 과태료 4만 원 6만 원은 굉장히 비싸다면서 선량한 피해자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계자분들이 소통을 통해 수정이 있었으면 하고 바란다"라고 하였습니다.
화랑대역 인근 버스 전용차선
잠실역 외에도 화랑대역의 버스 전용차선 역시 과태료 폭탄을 맞는 도로라는 지적이 있습니다. 정형돈은 내비게이션의 안내에 따라 400미터 앞에서 우회전을 하기 위해 우측 차선으로 진입했습니다. 진입이 가능한 점선이었던 것인데 갑자기 실선으로 바뀌고 그 자리에 단속카메라가 등장했습니다. 동승한 변호사는 "이걸 어떻게 안 걸리냐"면서 "미리 들어왔던 차량에게 나가라는 점선이었는데, 우회전을 하려면 다 들어올 수밖에 없다"면서 우회전을 하기 위한 도로에 이렇게 CCTV를 달아놓은 것은 아니지 않냐면서 문제를 지적하였습니다.
방송이 화제가 되자 서울시 측에서는 '도로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개선 방안을 찾겠다'라고 하였습니다. 이 화랑대역과 잠실역 버스전용차선은 2020년부터 2022년 8월까지 2년 8개월간 8만 5000여 대가 단속으로 걸린 곳으로 유명한 곳이었습니다. 한 대당 과태료를 5만 원으로 계산해도 총 42억 원이 넘는 금액입니다. 하루빨리 개선 방안을 찾아 선량한 피해자가 많이 나오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