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잼버리가 막을 내렸습니다. 잼버리 행사장의 필수 시설이 제대로 준비되어 있지 않아 많은 문제를 일으켜 결국 새만금에서의 일정은 파행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잼버리가 막을 내리자마자 공항까지 파행의 불똥의 튀고 있습니다. 논란의 중심은 바로 새만금 국제공항인데요.
조달청에서는 새만금 국제공항 건설을 위해 총 8077억 중 5100억원의 사업을 담당할 회사를 선발한다는 공사 입찰공고를 냈습니다.
전북 지역의 환경단체들은 공항이 들어서는 자리에 멸종 위기종과 희귀생물이 많이 살고 있어 공항 건설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한편 전라북도가 이번 새만금 잼버리 행사를 준비하면서 잼버리 행사 보다는 새만금 매립이나 도로 건설 등의 예산을 따 내기만 할 뿐 정작 잼버리 준비는 소홀했다는 지적으로 이번 공항 건설 예산도 꼼꼼하게 다시 봐야한다는 지적도 높습니다.
한편 전북은 앞으로 새만금에 공장이 들어서는 만큼 공항과 같은 기반 시설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땅이 좁은 우리나라인데 우리나라는 벌써 인천공항을 제외하고 공항만 14곳이 있습니다. 이 중 흑자를 내고 있는 곳은 제주, 김포, 김해, 대구 뿐입니다. 나머지 공항들은 이용객들이 적어 적자 신세를 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국민의 혈세가 들어가는 사업인만큼 꼼꼼하게 따졌으면 합니다.
댓글